Peter씨의 가족을 만난 아침 기차
Train journey with Dr. Perter and his family
혼자 6인실 칸에 앉아 있을 때였다. 부다페스트에서 자그레브로 가는 기차에서 일가족이 내가 있던 칸에 탔다. 내가 내 캐리어를 치우기 위해 가방을 올리려 하자 그 가족 중의 아버지가 도와주셨다. (보통 잘 안도와주시는데 도와주셨다.) 어머니로 보이는 여자 분이 나에게 중국인이냐며 말을 걸었다. 나는 South Korea에서 왔다고 답했다. 그것을 시작으로 대화가 지속되었다.
I was sitting alone in a room for 6 people in train to Zagreb. A family took in my room. Noting that I have to get my luggage away, the father of that family helped me. The mother of that family asked me if I am a Chinese. That was the beginning of our talking.
노르웨이에서 온 가족이었다. 중학생쯤 돼 보이는 남자아이 둘과 초등학생 여자아이 하나,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 이렇게 다섯 명의 가족이었다. 북유럽 끝자락에 있는 노르웨이의 오슬로에서 출발해 몇 개 도시를 거쳐 남부유럽인 자그레브로 가는 길이었다. 온가족이 몇 주간의 휴가를 같이 가다니, 이것 역시 우리나라에선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They were Norwagian. Two boys look lik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 little girl, and father and mother, they were the family. Departed from Norway, located in the end of the Northern Europe, and passing couple of cities and now they were going to Southern Europe, Zagreb. All the family members are enjoying vacation together for couple of weeks. That’s only imaginary thing to Korean.
자긍심을 가져도 되는 나라 한국
Korea worths for a pride
가족의 아버지 Peter씨와 나의 대화의 대부분은 한국의 근대사에 관한 것이었다.
I and Dr. Peter, the father of the family, talked about Korean modern history.
노르웨이. 우리나라와 정치적으로 가깝지도 않고, 국제적인 이슈도 많지 않아 신문의 국제면에서도 보기 힘든 나라다. 사실은 1인당 GDP 2위(1위 룩셈부르크)에 실질적인 삶의 질이 높다. 태평양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미국과 중국, 자원과 종교 문제 때문에 말썽인 중동, 금융 및 재정 위기 때문에 나날이 위태로운 유럽국가들과는 상관없이 조용히, 유유하게 잘 살고 있던 나라. 50%에 육박하는 세금을 내면서도 복지와 삶의 수준에 만족하고, 물가가 비싸도 임금이 높아 해외 여행을 가면 모든 것이 너무
저렴하게 느껴진다는 것이 Peter씨 가족의 증언이었다.
Norway. Not that close to Korea in both diplomatic and trade things. And even that country has no big issue so we can’t notice their updates on newspaper. But Norway is the second country in GDP per one so their quality of life is high. They pay taxes almost half of their earnings but they highly satisfied with their welfare and life. And they are okay with their high prices because they make money by that much. So they don’t feel big burden because most contries are cheap to travel.
우리는 노르웨이의 역사를 잘 모르는데, 이 사람들이 이토록 한국 근대사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Peter씨는 나도 몰랐던 한국전쟁 당시의 한국과 노르웨이의 친분 관계를 설명해 주었다. “당시 노르웨이에서 600여명의 의사가 파견되어 우리나라의 9만 참전군인을 돌봐서 살렸다. 전쟁 후 한국은 아무것도 없었다. 거의 모든 기반시설과 문화유산이 파괴되었다. 그런데 이후 한국은 선박 산업을 시작으로 중공업 산업에서 세계의 중심에 설 수 있었다.”
I was surprised that he knows well our modern history. And he also told me some relationship between Norway and our country during the Korean War. “In that time over 600 Norwagian doctors came to Korea and saved over 90,000 soldiers. After the war, Korea had nothing. Almost all infrastructures and cultural inhertances were destroyed. But afterward, Korea started to make ships. afterward, Korea became a strong country in heavy industry.”
선박 산업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중공업과 경공업까지도 한국은 후발 국가였다. 그나마 일제 강점기 때 철로와 공장을 짓지 않았다면 우리나라의 산업 발전은 더 느려졌을지도 모른다. 자원도 기술도 자본도 없는 상태에서 한국은 근면한 노동자와 중앙집중적인 계획경제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Peter씨는 그것을 이룬 세대가 우리 부모님 세대이며, 그것을 자랑스러워 해야 한다고 말씀해 주셨다. “너는 자랑스런 한국인이다. 세계 어디에도 그런 유례가 없다. 너희 부모님은 세계 어디에서도 이루지 못한 경제 성장을 이룬 기적적인 세대다.”
Not only shipping industry, Korea was a backward country in most of industries. I think is the only good thing that the Emperialist Japan did in Korea, built railways and factories. Thanks to that we could eccelerate development. Without any resources and capital, Korea achieved great development owing to diligent workers and centralized planned economy. Dr. Peter said this success owes our parents’ generation and we must be pround of that. “You are Korean, and be pround of having that history. That is the only case, there’s no case like your country’s in the world. Your parents’ generation made it.”
배운 것이지만 외국인이 이것을 인정해주니 감회가 남달랐다. 한국 사람들이 스스로 자랑스러워하는 것보다 훨씬 객관적이기 때문이다. Peter씨는 특히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를 함께 이룬 것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중압집중적인 경제성장은 대부분 사회를 통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주주의는 거꾸로 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의 끝에 민주주의를 쟁취했고, 그 뒤에도 후퇴하지 않고 계속해서 발전해나간 나라다. 다른 나라가 200-300년에 걸쳐 이룬 경제성장과 정치 발전을 20-30년 만에 이룩한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고등학교 역사 시간에 그렇게 지겹게 듣던 내용인데, 마치 나는 이 이야기를 처음 들은 듯 감동을 받았다. Peter씨는 이런 나를 보며 아빠미소를 지었다. 나도 딸내미 미소를 지어 보였다.
That is what I already know well, but when he told me that, I felt something I’ve never felt before. His perspective is far more objective. He also mentioned Korea achieved both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Most of centralizly planned economies achieved in highly controlled society. So democracy goes backward. But our country achieved democracy, in the end of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keeping on and on. That was what I was alredy told in my history class, but as if I’ve never been heard, I was so touched.
Peter씨 가족은 작년에 서울에 왔다고 한다. 서울과 부산 등 한국에서만 3주 가까이 지냈다고 했다. 특히 서울을 세계에서 가장 모던한 도시 가운데 하나라고 말해주었다.
He and his family have been to Seoul last year. They stayed 3weeks in Korea. He said Seoul is the most modern country in the world.
따뜻한 피터씨 가족
Warm-hearted family
나는 이 가족이 너무 좋아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던 나가사키 짬뽕 컵라면과 양갱, 만쥬 등을 아이들 손에 쥐어주었다. 사실 컵라면은 내가 먹으려고 가져온건데 뭔가 큰 걸 주고싶어 그냥 내어주었다. Peter씨는 보답으로 노르웨이에 이변 겨울에 놀러 오면 같이 스키를 타러 가자고 했다. 이윽고는 아예 노르웨이에 공부를 하러 오라고 하셨다. 그러면 집을 제공해 주시겠다고. 노르웨이는 모든 대학이 무료이고 대학생도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으니 괜찮을 거라고 하셨다. 10분 정도 진지하게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은 마음만 받기로 했다.ㅎㅎ
I liked this family so I gave them the last item I have. That was a cup noodle(that’s very new) and some breads. Actually the cup noodle was for me, but I wanted to give them something special. Dr. Peter invited me to come Norway this winter and go ski together, for a kinda reward. That was a super huge reward. I really appreciate that.
여행은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을 보러 가는 것이지만, 역설적으로 그것들을 통해 나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저 잘사는 북유럽 국가로만 알고 있던 노르웨이, 하루키의 소설 ‘상실의 시대’의 원 제목인 ‘노르웨이의 숲’에서나 익숙하던 나라. 이 나라의 사람들이 한국인으로서의 나, 그리고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다시 일깨워주었다.
Journey is to see other countries and other kinda people. But paradoxically because of those things I can discover myself, my lifestyle, and my country. Norway, I’ve never known but some reach country in Northern Europe and the novel title of haruki, people living here awakened me as a Korean.
기차는 곧 자그레브로 도착했다. 6시간이 흘렀다. 잠을 전혀 자지 않았지만 피곤하지 않았다. 너무 즐거운 시간이었다. 나는 자그레브에 머물 것이었지만 이 가족은 자그레브에서 베니스로 가는 기차를 다시 타러 간다고 했다. 우리는 역 앞의 작은 레스토랑에서 점심을 같이 했다. 정확히는 이 가족이 나를 초대해주었다.
Train arrived to Zagreb soon. 6 hours gone. I never slept but I wasn’t tired at all. It was very meaningful time. I was staying Zagreb but they had to go Venice. They invited me to their family lunch around the train station.
우리는 그렇게 아쉬운 작별 인사를 했다. Peter씨는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를 읽어 보았냐며, 안읽었으면 꼭 읽어보라며 추천해 주셨다. 이 소설이 지난해 전세계로 수출해 대박을 터뜨렸다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났다. Peter씨가 오늘 권하고, 1년 전에 기사가 나에게 이 책을 권했고, 그보다 더 1년 전에 엄마가 나에게 이 책을 권했는데. 엄마가 권할 때 읽을 걸 그랬다.
After eating we made our farewells. Dr.Peter recommended me writer Shin’s novel <Take care of my mother>. I’ve read some article that says this book exported abroad and many people liked that. Peter recommended me that today, and 1 year ago the article recommended me, and more 1 year ago my mom did that either.